홈으로...

'고열에 경련까지' 아이가 열 경기 보인다면?

  • LV 3 은초딩
  • 비추천 1
  • 추천 6
  • 조회 5991
  • 유아토크
  • 2014.09.01 15:48
'고열에 경련까지' 아이가 열 경기 보인다면?
6개월~6세 미만 주로 발생…열조절 못해 나타나

【베이비뉴스 오진영 기자】

 

육아를 하면서 엄마들이 가장 힘들어 하는 때는 아이가 고열이 나는 상황이다. 엄마들은 가장 보기 힘든 상황이 ‘아이가 열 경기’나 ‘경련 증상을 보이는 때’라고 많이들 얘기한다. 열이 나는 것만으로도 심난한데 아이가 경련 증상까지 보인다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감기가 걸려서 고열 감기가 올 수 있지만 모든 아이가 열경기 증상을 보이지는 않기 때문이다.

 

아이가 열 경기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김한준 아이엔여기한의원 평촌점 원장의 도움말로 아이의 열성 경련 증상, 원인과 응급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 열 경기란 무엇일까?

 

“아이가 입술이 파래지고 얼굴이 하얗게 변하면서 숨을 쉬는 것 같지 않아요”

 

아이의 경기 증상. 정말 당해보지 않은 사람은 상상하기 힘든 일이다. 열 경기 증상은 쉽게 말하면 ‘뇌가 순간적으로 열을 받아 일시 정지된 현상’을 말한다.

 

뇌가 고열로 인해 과로 상태가 되면서 일시적인 방전 상태가 된 것이다. 셧 다운 현상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데, 우리 몸이 스스로 치받쳐진 열을 스스로 조절하지 못해서 뇌가 그 상황을 적응하지 못하고 정지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주로 생후 6개월에서 6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나타난다. 38도 이상의 고열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고, 아이가 스스로 열조절을 잘 못해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열 경기 증상이 나타났다면?

 

우선은 당황되겠지만 침착한 대처가 필요하다. 주변에 아이에게 위해가 될 만한 물건을 모두 치우고, 아이가 분비하는 침이나 구토물을 잘 뱉어내도록 옆으로 뉘어 줘야 한다.

 

고개와 턱이 떨리면서 혀를 깨물 수 있어서 입에 작은 가재수건을 물려 주는 것이 좋다. 또한 경기하는 도중에는 가급적 아무 음식이나 음료도 먹이지 말아야 한다. 아이가 진정할 때까지 옆에서 아이를 잘 잡고 보호해야 한다.

 

열 경기는 주로 생후 6개월에서 6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나타난다. 38도 이상의 고열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아이엔여기한의원 평촌점
열 경기는 주로 생후 6개월에서 6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나타난다. 38도 이상의 고열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아이엔여기한의원 평촌점

 

 

◇ 만약 열이 없는데 경기 증상을 보였다면?

 

단순한 열 경기 증상이 아닐 수 있어서 보다 정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뇌파 검사나 MRI를 통해 아이의 경기파 상태나 뇌의 상태를 진단해 볼 필요도 있다.

 

◇ 열 경기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소아 간질로 발전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열 경기 증상이 나타난 것을 단순한 해프닝으로만 생각할 수 없는 이유다.

 

소아 간질 레녹스가스토 증후군이나 드라베 증후군과 같은 영아 발작 질환은 초기에 발견,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진행되면 발달 장애나 신체 발육 장애 등을 동반하기도 하니 보다 더 면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 아이의 열 경기 증상의 원인은 무엇일까?

 

바로 건강한 열순환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아서다.

 

아이의 코 속 부비동의 공기 순환 냉각 시스템이잘 돌아가면 뇌의 과열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몸에서 모공의 땀 배출이 원활하다면 얼굴 쪽으로 열이 집중되거나 땀이 얼굴 목 등 쪽에만 집중적으로 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혈액이 얼굴 뇌 머리 쪽으로 충혈되고 순환이 잘 되지 않으면 열이 더 상부로 쏠리게 된다.쏠린 열이 누적되어 뇌의 과부하 현상을 촉발하는 원인이 된다.

 

아이의 소화기에서 만들어지는 열독을 줄이고(과식이나 폭식·야식하는 습관) 아이의 혈액에 혈당을 순간적으로 많이 올리는 음식(과일 밀가루 인스턴트 당분)을 많이 먹이는 것은 열경기 아이들에게는 절대 안 좋다. 열 경기는 뇌의 과부하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Copyrights ⓒ 베이비뉴스, 웨딩뉴스 기사제보 [email protected]


오진영 기자([email protected])


추천 6 비추천 1

트위터 페이스북 다음요즘 싸이공감 구글 북마크 네이버 북마크
LV 6 predators
항상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V 1 마이홈
딸아이 다쳐서 응급실갔는데 앞자리 남자아이 경기하는거보구  저두 기절하는줄 알았어요 너무 무섭더라구요  좋은정보감사요
LV 2 코냥스타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
육아,임신 게시판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0 유아토크 18개월아기 (3) LV 1 강시컹 08.29 5829 7
169 유아토크 핸드폰 방지 방법 (8) LV 1 비행기a 08.30 6225 7
168 유아토크 보행기 질문이요 (3) LV 1 ㄳㄳㄳㄳㄳ 08.31 5910 7
167 유아토크 물티슈를 써야되는지 말아야되는지... (8) LV 1 제임스리야 08.31 6088 7
166 유아토크 폰을 줘야할지 말아야할지 (2) LV 1 kmspsj0324 09.01 5592 7
165 유아토크 이유식은 언제부터 시작하나용? (2) LV 1 가카씨 09.01 5618 7
164 유아토크 아이가 자주 놀라요? (1) LV 1 뤼치 09.01 5877 7
163 유아토크 "아이 책은 너덜너덜한 게 당연해요" (3) LV 3 은초딩 09.01 6154 6
162 유아토크 '고열에 경련까지' 아이가 열 경기 보인다면? (3) LV 3 은초딩 09.01 5992 6
161 유아토크 잠없는 아이들 어떻게하시나요? (7) LV 1 마이홈 09.01 5761 7
160 유아토크 애기 이빨나려고할때 많이 보채나요? (4) LV 1 대발잉 09.02 5911 7
159 유아토크 태권도 상 (3) LV 1 kmspsj0324 09.02 5871 7
158 유아토크 갑자기 (7) LV 1 아베베아베 09.02 5866 7
157 유아토크 엄마 욱하게 하는 아이의 행동, 대처법은? (14) LV 3 은초딩 09.03 6230 6
156 유아토크 높임말 (6) LV 1 kmspsj0324 09.03 7424 7
155 유아토크 조카가갑자기 (10) LV 1 uub동진 09.04 7479 8
154 유아토크 자녀 핸드폰 마련 고민?? (5) LV 1 뤼치 09.05 7095 9
153 유아토크 아이들 간식 (4) LV 1 ㄳㄳㄳㄳㄳ 09.06 6878 9
152 유아토크 핸드폰 (3) LV 1 숀이짱 09.09 6972 9
151 유아토크 조카가 (5) LV 3 영원사랑 09.10 7049 9
150 유아토크 육아는 너무 어려워요~~ (3) LV 1 여니쨩 09.11 6620 10
149 유아토크 아토피와 비염 관리, 음식에서 시작해요 (2) LV 3 은초딩 09.11 7135 9
148 유아토크 약 먹고 토한 아이, 다시 먹여야 하나요? (4) LV 3 은초딩 09.11 7349 9
147 유아토크 디지털 기기가 아이들의 뇌 발달 돕는다? (3) LV 3 은초딩 09.11 7081 9
146 유아토크 한글 (4) LV 1 kmspsj0324 09.11 6770 9
145 유아토크 태어난지 50일정도 되면 기저귀 몇단계 해야하나요? (5) LV 1 가카씨 09.12 7280 8
144 유아토크 애기 분유 추천좀 (6) LV 3 바앙패 09.12 7915 10
143 유아토크 유아기 아토피 바로 잡을 수 있을까요? (6) LV 1 가카씨 09.14 7729 9
142 유아토크 생후 14개월 넘어가고 있어요. (3) LV 1 Carolll 09.15 7067 9
141 유아토크 아이의 작은 상처, 그냥 모른 척하라 (2) LV 3 은초딩 09.17 7300 9
광고 · 제휴 문의는 이메일로 연락 바랍니다.  [email protected]   운영참여·제안 | 개인정보취급방침
Copyright © www.uuoobe.com All Rights Reserved.